CUBRID 9.0 Beta 버전 사용자는 CUBRID 9.1 버전을 별도의 디렉터리에 설치한 후 기존의 환경 설정 파일에서 파라미터들의 값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야 한다.
cubrid.conf
cubrid_broker.conf
환경 변수
CUBRID_LANG이 제거되고, CUBRID_CHARSET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문자셋을, CUBRID_MSG_LANG으로 유틸리티 메시지 및 오류 메시지의 문자셋을 설정하게 되었다.
Warning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CUBRID_CHARSET(설치 시 기본값 en_US, ISO-88591 문자셋 사용)을 반드시 지정해야 하며, 문자셋에 따라 문자열 타입의 크기, 문자열 비교 연산 등에 영향을 끼친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지정된 문자셋은 변경할 수 없으므로 지정에 주의해야 한다.
문자셋, 로캘 및 콜레이션 설정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다국어 지원을 참고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기본 설정 변경 절을 참고한다.
9.1 버전과 9.0 Beta 버전 사이에 DB 볼륨이 호환되지 않으므로, CUBRID 9.1 설치 이후 기존의 DB 볼륨을 9.1용으로 반드시 변환해야 한다.
DB 마이그레이션은 DB 마이그레이션 절차 절을 참고한다.
CUBRID 2008 R4.1, R4.3 버전 사용자는 CUBRID 9.1 버전을 별도의 디렉터리에 설치한 후 기존의 환경 설정 파일에서 파라미터들의 값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야 한다.
cubrid.conf
cubrid_broker.conf
cubrid_ha.conf
환경 변수
CUBRID_LANG이 제거되고, CUBRID_CHARSET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문자셋을, CUBRID_MSG_LANG으로 유틸리티 메시지 및 오류 메시지의 문자셋을 설정하게 되었다.
Warning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CUBRID_CHARSET(설치 시 기본값 en_US, ISO-88591 문자셋 사용)을 반드시 지정해야 하며, 문자셋에 따라 문자열 타입의 크기, 문자열 비교 연산 등에 영향을 끼친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지정된 문자셋은 변경할 수 없으므로 지정에 주의해야 한다.
문자셋, 로캘 및 콜레이션 설정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다국어 지원을 참고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기본 설정 변경 절을 참고한다.
환경 설정 이후 DB 마이그레이션은 DB 마이그레이션 절차 절을 참고한다.
CUBRID 2008 R4.0 이하 버전 사용자는 CUBRID 9.1 버전을 별도의 디렉터리에 설치한 후 기존의 환경 설정 파일에서 파라미터들의 값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야 한다.
cubrid.conf
cubrid_broker.conf
cubrid_ha.conf
환경 변수
CUBRID_LANG이 제거되고, CUBRID_CHARSET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문자셋을, CUBRID_MSG_LANG으로 유틸리티 메시지 및 오류 메시지의 문자셋을 설정하게 되었다.
Warning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CUBRID_CHARSET(설치 시 기본값 en_US, ISO-88591 문자셋 사용)을 반드시 지정해야 하며, 문자셋에 따라 문자열 타입의 크기, 문자열 비교 연산 등에 영향을 끼친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지정된 문자셋은 변경할 수 없으므로 지정에 주의해야 한다.
문자셋, 로캘 및 콜레이션 설정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다국어 지원을 참고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기본 설정 변경 절을 참고한다.
환경 설정 이후 DB 마이그레이션은 DB 마이그레이션 절차 절을 참고한다.
기존 환경 설정 파일 보관
새로 추가된 예약어 검사
환경 변수 CUBRID_CHARSET, CUBRID_MSG_LANG 설정
스키마 변환
시스템 로캘 추가
CUBRID 9.0 Beta에서 DB를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는 "migrate_90beta_to_91 <db_name>" 명령을 사용하여 다음의 절차대로 수행한다.
단계 | Linux 환경 | Windows 환경 |
---|---|---|
1 단계: CUBRID Service 종료 | % cubrid service stop | CUBRID Service Tray를 종료한다. |
2 단계: 예약어 검출 스크립트 실행 | 예약어 검출 스크립트가 위치하는 디렉터리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한다.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마이그레이션 진행 또는 식별자 수정 작업을 진행한다.
|
|
3 단계: 이전 버전 DB 백업 | 이전 버전의 databases.txt 및 conf 디렉터리 내 설정 파일을 별도 디렉터리에 보관한다. (3a) cubrid backup 유틸리티를 실행하고 이때 생성된 파일을 별도 디렉터리에 보관한다. (3b)
|
|
이전 DB 볼륨은 그대로 유지한다. | 이전 버전의 CUBRID를 언인스톨한다. 이때, 이전 DB 볼륨은 그대로 유지한다. |
|
4 단계: 새 버전 설치 | 기존의 설치 위치와 같은 디렉터리에 설치한다. 설치와 실행 절을 참고한다. | |
5 단계: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 이전 DB 볼륨을 가지고 유틸리티를 실행한다.
|
|
6 단계: CUBRID 환경 설정 및
|
환경 설정 파일을 수정한다. 이때, (3a)에서 보관한 이전 버전의 환경 설정 파일을 새 버전에 맞게 수정한다. (시스템 파라미터 설정은
|
CUBRID Service Tray> [Service Start]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시작한다.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DB 서버를 구동한다.
|
CUBRID 2008 R3.0 Beta 이하 사용자의 경우, 기존의 GLO 클래스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GLO 클래스 사용자의 마이그레이션 참고).
아래는 cubrid unloaddb/loaddb 유틸리티와 http://ftp.cubrid.org 에서 별도 배포되는 check_reserved.sql 예약어 검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cubrid unloaddb/loaddb는 매뉴얼의 내보내기와 가져오기 참고)
단계 | Linux 환경 | Windows 환경 |
---|---|---|
C1 단계: CUBRID Service 종료 | % cubrid service stop | CUBRID Service Tray를 종료한다. |
C2 단계: 예약어 검출 스크립트 실행 | 예약어 검출 스크립트가 위치하는 디렉터리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한다.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마이그레이션 진행 또는 식별자 수정 작업을 진행한다.
|
|
C3 단계: 이전 버전 DB 언로드 | 이전 버전의 databases.txt 및 conf 디렉터리 내 설정 파일을 별도 디렉터리에 보관한다. (C3a) cubrid unloaddb 유틸리티를 실행하고 이때 생성된 파일을 별도 디렉터리에 보관한다. (C3b)
기존 DB를 삭제한다. (C3c)
|
|
C4 단계: 새 버전 설치 | 설치 방법은 설치와 실행 절을 참고한다. | |
C5 단계: DB 생성 및 데이터 로딩 | DB를 생성할 디렉터리로 이동한 후, DB를 생성한다. (C5a)
(C3b)에서 보관한 파일을 가지고 cubrid loaddb 유틸리티를 실행한다. (C5b)
|
|
C6 단계: 새 버전 DB 백업 | % cubrid backupdb -S testdb | |
C7 단계: CUBRID 환경 설정 및
|
환경 설정 파일을 수정한다. 이때, (C3a)에서 보관한 이전 버전의 환경 설정 파일을 새 버전에 맞게 수정한다. (시스템 파라미터 설정은
|
CUBRID Service Tray> [Service Start]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시작한다.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DB 서버를 구동한다.
|
GLO 클래스를 사용하는 경우, CUBRID 2008 R3.1부터는 GLO 클래스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BLOB 또는 CLOB 타입을 사용하도록 응용과 스키마를 변경해야 한다. 변경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면 마이그레이션을 보류할 것을 권장한다.
아래는 브로커, 마스터 DB, 슬레이브 DB를 각각 별도 서버에 구축한 환경에서 현재 서비스를 중지하고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이다.
단계 | 설명 |
---|---|
H1~H6 단계: 마스터 노드에서 C1~C6 단계를 수행 | 마스터 노드에서 CUBRID 업그레이드 및 DB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고, 새 버전의 DB를 백업한다. |
H7 단계: 슬레이브 서버에 CUBRID 새 버전 설치 | 슬레이브 서버에서 이전 버전의 DB는 삭제하고, 새 버전을 설치한다. 설치 방법은 설치와 실행 절을 참고한다. |
H8 단계: 마스터 노드 백업본을 슬레이브 서버에서 복구 | H6 단계에서 생성된 마스터 노드의 새 버전 DB 백업본(예: testdb_bk*)을 슬레이브 서버에서 복구한다.
|
H9 단계: HA 환경 재구성 후 HA모드 구동 | 마스터 및 슬레이브 서버에서 CUBRID 환경 설정 파일(cubrid.conf) 및 HA 환경 설정 파일(cubrid_ha.conf)을 설정한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서버 설정 참고) |
H10 단계: 브로커 서버에 새 버전 설치 및 브로커 구동 | 설치 방법은 설치와 실행 절을 참고한다. 브로커 서버에 있는 브로커를 시작한다. (브로커 설정, 시작 및 확인 참고)
|
CUBRID 2008 R2.0 또는 R2.1의 HA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서버 버전 업그레이드, DB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고 HA 환경을 새롭게 구축한 후 해당 버전에서 사용되었던 Linux Heartbeat 자동 시작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Linux Heartbeat 패키지가 불필요한 경우 삭제한다.)
위의 H1~H10 단계를 수행한 후, 아래의 H11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 설명 |
---|---|
H11 단계: 기존 Linux heartbeat 자동 시작 설정 변경 | 이하의 작업은 마스터 및 슬레이브 서버에서 root 계정으로 수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