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버전의 CUBRID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점검한다.
구분 |
내용 |
---|---|
64비트 여부 |
CUBRID 2008 R2.0 버전부터 32비트 버전과 64비트 버전을 각각 지원한다. [내 컴퓨터] > [시스템 등록 정보] 창을 활성화하여 Windows 버전 비트를 확인할 수 있다. 32비트 Windows에서는 CUBRID 32비트 버전을 설치하고, 64비트 Windows에서는 CUBRID 64비트 버전을 설치한다. |
메모리 여유 공간 |
1GB 이상을 권장한다. |
디스크 여유 공간 |
2GB 이상을 권장한다(초기 설치 시 500MB, 기본 옵션으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1.5GB 필요). |
필요 소프트웨어 |
CUBRID 매니저 및 자바 저장 프로시저를 사용하려면 Java Runtime Environment (JRE) 1.6 이상 버전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시스템을 시작할 때 CUBRID Service Tray가 자동으로 구동되지 않는다면 다음 사항을 확인하도록 한다.
이전 버전의 CUBRID가 이미 설치된 환경에 새로운 버전의 CUBRID를 설치하는 경우, 시스템 트레이에서 [CUBRID Service Tray] > [Exit]를 선택하여 운영 중인 서비스를 종료한 후 이전 버전의 CUBRID를 제거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와 설정 파일을 모두 삭제하겠습니까?"라고 묻는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이전 버전의 데이터베이스가 삭제되지 않도록 [아니오]를 클릭한다.
이전 버전의 데이터베이스를 새로운 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작업은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을 참고한다.
서비스 포트 등 사용자 환경에 맞춰 설정을 변경하려면 %CUBRID%\conf 디렉터리에서 다음 파일의 파라미터 값을 변경한다.
구분 |
내용 |
---|---|
cm.conf |
CUBRID 매니저용 설정 파일로 기본 포트는 8001로 설정되어 있다. |
cubrid.conf |
서버 설정용 파일로 운영하려는 데이터베이스의 메모리, 동시 사용자 수에 따른 스레드 수, 브로커와 서버 사이의 통신 포트 등을 설정한다. |
cubrid_broker.conf |
브로커 설정용 파일로 운영하려는 브로커가 사용하는 포트, 응용서버(CAS) 수, SQL LOG 등을 설정한다. |
JDBC, PHP, ODBC, OLE DB 등 인터페이스 모듈은 http://www.cubrid.org/wiki_apis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관련 파일을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다.
CUBRID 매니저, CUBRID 쿼리 브라우저 등 도구는 http://www.cubrid.org/wiki_tools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관련 파일을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