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BRID 매니저 서버의 환경 설정 파일은 $CUBRID/conf에 위치하며, 파일 이름은 cm.conf이다.
CUBRID 매니저의 환경 설정 파일에서 주석은 "#"으로 처리되며, 매개 변수 이름과 값이 저장된다. 매개 변수 이름과 값 사이에는 공백 또는 등호 부호(=)로 구분한다. cm.conf에서 설정할 수 있는 매개 변수는 다음과 같다.
CUBRID 매니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 포트를 설정하는 매개 변수로, 기본값은 8001로 설정된다. cm_port는 cub_auto가 사용하는 포트이며, cm_js는 자동으로 cm_port로 설정한 값보다 1만큼 큰 값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cm_port가 8001로 설정된 경우 cub_auto는 8001 포트를 사용하고, cub_js는 8002 포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방화벽이 설정된 환경에서 CUBRID 매니저를 구동하려면 반드시 실제로 사용되는 두 개의 포트를 열어야 한다.
cub_auto의 모니터링 주기를 초 단위로 설정하는 매개 변수로, 기본값은 5이다.
CUBRID 매니저 서버에 클라이언트가 중복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매개 변수로, 기본값은 YES이다. 따라서 CUBRID 매니저 서버에는 두 개 이상의 CUBRID 매니저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수 있으며, 같은 사용자 이름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서버의 진단 항목 중 slow_query 항목을 설정할 경우 몇 초 이상을 늦은 질의로 판별할지 결정하는 매개 변수로, 기본 값은 10이다. 서버에서 수행된 질의 수행 시간이 매개 변수 설정 값보다 큰 경우, slow_query의 개수가 증가한다.
브로커와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리된 구조에서 매니저의 메뉴를 해당 서비스에 맞게 출력할 목적으로 지원되는 매개 변수이다. 기본값은 브로커와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같이 설치되어 있는 환경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브로커만 설정하면 매니저에서 브로커 관련 메뉴만 출력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만 설정하면 서버 관련 메뉴만 출력된다.
탐색 트리에서 호스트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하면, 설정된 정보를 [호스트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